[법학] 스팸메일에 대한 각국의 규제방식
페이지 정보
작성일 22-12-28 17:23본문
Download : [법학] 스팸메일에 대한 각국의 규제방식.hwp
[법학] 스팸메일에 대한 각국의 규제방식 -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.
[법학] 스팸메일에 대한 각국의 규제방식
![[법학]%20스팸메일에%20대한%20각국의%20규제방식_hwp_01.gif](http://www.allreport.co.kr/View/%5B%EB%B2%95%ED%95%99%5D%20%EC%8A%A4%ED%8C%B8%EB%A9%94%EC%9D%BC%EC%97%90%20%EB%8C%80%ED%95%9C%20%EA%B0%81%EA%B5%AD%EC%9D%98%20%EA%B7%9C%EC%A0%9C%EB%B0%A9%EC%8B%9D_hwp_01.gif)
![[법학]%20스팸메일에%20대한%20각국의%20규제방식_hwp_02.gif](http://www.allreport.co.kr/View/%5B%EB%B2%95%ED%95%99%5D%20%EC%8A%A4%ED%8C%B8%EB%A9%94%EC%9D%BC%EC%97%90%20%EB%8C%80%ED%95%9C%20%EA%B0%81%EA%B5%AD%EC%9D%98%20%EA%B7%9C%EC%A0%9C%EB%B0%A9%EC%8B%9D_hwp_02.gif)
- 먼저보기를 참고 바랍니다.
이 법률에 의하면 ‘메시지의 헤더정보를 속이는 행위’4) 등 5종의 심각한 피해를 야기하는 스팸행위에 대하여 5년 내지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벌금에 처하도록 하고 있따 또한, ① 모든 “상업광고성 전자우편메시지”에 대한 표시의무 부과, ② 광고표기 의무화(광고문구에 대한 기준은 없음), ③ 수신거부방법 안내 및 발송자 실제 주소 기재 의무화, ④ 음란성 광고메일 전송시 경고 문구 의무화, ⑤ 수집거부의사가 게시된 웹사이트에서 자동화된 수단을 이용하여 무단으로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거나 위 표시의무나 표기의무에 반하여 전자우편을 발송하는 행위에 대한 가중책임 부여 등을 규정하고, 발송자가 상업광고성 전자우편메시지를 보낼 때 허위 또는 기만적인 전송정보(false or misleading transmission information)를 사용하는 것도 금지하고 있따
2. 유럽연합(EU)
2…(To be continued )
레포트/법학행정
다. , [법학] 스팸메일에 대한 각국의 규제방식법학행정레포트 , 법학 스팸메일 각국 규제방식
[법학] 스팸메일에 대한 각국의 규제방식
설명
법학,스팸메일,각국,규제방식,법학행정,레포트
Download : [법학] 스팸메일에 대한 각국의 규제방식.hwp( 92 )
순서
스팸메일에 대한 각국의 규제방식
1. 미국
미국은 2004. 1. 1.부터 시행된 스팸규제법1), (약칭 “CAN-SPAM Act of 2003”)에 의하여 연방 차원에서 스팸메일에 대한 규제를 하고 있는데 기본적으로 Opt-out 방식을 채택하고 있따
이 법은 모든 상업광고성 전자우편메시지(commercial electronic mail message)를 규율대상으로 하고 있으며, 수신거부 의사표시에도 불구하고 스팸메일을 다시 전송하는 행위를 불법으로 규정하고 있따
미국에서는 1991년에 제정된 전화소비자보호법2)에서 자동전화시스템에 의한 FAX광고에 대해 Opt-in 방식을 취하여 왔지만 스팸메일의 규제에 관하여는 광고표현의 자유를 제약하고 전자상거래의 발전을 저해할 우려가 있다는 연방차원의 논의에 따라 법률이 제정되지 않고 있다가 2003년 12월에 이르러 위와 같은 스팸규제법이 제정되었고, 이 법률의 대부분의 규정은 각 주의 스팸규제법3)에 대해 우선적 효력을 가지므로 연방 차원의 통일적 규제가 가능하게 된 것이다.